지난 뜨거운 이슈가 있었다면, 바로 국민에게 1인당 25만씩 지급하는 국민상생지원금, 즉 5차 재난지원금 이었습니다. 물론 국민 모두가 받을 수 있었던 것은 아니지만, 장기화된 코로나로 힘들어 하는 지금, 이는 적지 않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한편 10월에는 소비 활성화를 위해 정부는 상생소비지원금, 일명 카드캐시백을 준비하며 국민들의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은 지금까지 발표된 상생소비지원금 (카드캐시백)에 대한 내용을 정리 작성된 글입니다.
상생 소비지원금
상생 소비지원금(카드캐시백)은 10~11월 신용카드 또는 체크카드를 2분기 월평균 사용액보다 3% 더 많이 쓰면 3%를 넘는 증가분의 10%를 1인당 월 10만원까지 현금성 충전금으로 환급해주는 사업입니다.
예시를 들자면, 2분기 월평균 카드 사용액이 100만원이고 10월 153만원을 사용했을 경우 증가액 53만원 중 3만원을 제외한 50만원의 10%인 5만원을 캐시백으로 지급하게 됩니다.
상생 소비지원금 대상
발표에 따르면, 상생소비지원금의 지원대상은 2002년 12월 31일 이전 출생자로 만 19세 이상이며 올해 2분기 중 본인 명의의 신용·체크카드 사용 실적이 있는 사람이면 지원 대상에 포함이 됩니다.
특히, 상생소비지원금과 동일하게 외국인도 외국인 등록번호를 보유하고 본인 명의 신용·체크카드의 2분기 사용 실적이 있는 외국인은 신청 가능합니다.
상생 소비지원금 시행 시작
상생소비지원금 시행은 10월과 11월 두 달간 시행될 예정으로 7000억원의 재원이 모두 소진 시에는 조기 종료될 수도 있습니다.
10월 사용액에 대한 캐시백은 11월 15일에, 11월 캐시백은 12월 15일에 각각 지급될 예정이며, 캐시백 실적에 포함되는 소비는 기본적으로 국내에서 쓰는 카드 사용액을 모두 대상으로 하며 일부 업종과 품목 및 세금·보험 등 비소비성 지출만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실적에 포함되는 지출 정리
해당 실적은 중대형 슈퍼마켓, 영화관, 배달앱, 전문온라인몰, 공연, 병원·서점·학원, 프랜차이즈 직영점 등에서 인정됩니다.
온라인의 경우 노랑풍선, 예스24, 티켓링크, 한샘몰, 배달의민족, 마켓컬리, 야놀자 등 전문 온라인몰과 중소 온라인몰 사용액도 모두 실적 적립 또한 가능합니다.
반면, 실적에서 제외되는 업종과 품목은 대형마트, 백화점(아울렛), 복합쇼핑몰, 면세점, 대형 전자전문판매점, 대형 종합온라인몰(쿠팡 등), 홈쇼핑, 유흥업종, 신차구입, 명품매장, 실외골프장 등이며, 해외 사용 실적도 인정되지 않습니다.
단, 대형마트나 백화점 내 업체라도 임대업체로서 자기명의로 판매를 하는 매장의 실적은 포함이 됩니다.
상생 소비지원금 신청은 어디서?
해당 캐시백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먼저 롯데·비씨·삼성·신한·우리·하나·현대·KB국민·NH농협 등 총 9개 카드사 중 하나를 전담 카드사로 지정해야 합니다.
그리고 각 카드사가 자사 고객에 대한 신청자격 점검 후 대상자에게 자격 확인 및 신청 방법을 안내하면 9개 카드사 중 한 곳을 전담 카드사로 지정해 참여 신청을 하면 됩니다.
신청은 9개 카드사의 홈페이지나 모바일앱, 온라인과 콜센터, 오프라인 영업점을 통해 할 수 있으며, 비씨, 신한, 우리, 하나, KB국민, NH농협 6개사는 관계 은행지점을 직접 방문하여 신청 또한 가능합니다.
상생 소비지원금 신청 방법과 시작은?
캐시백 신청은 10월 1일부터 시작되며, 첫 일주일 간은 출생연도 뒷자리 숫자에 따라 5부제로 운영됩니다.
즉, 10월 1일엔 출생연도 끝자리가 1과 6인 사람이 신청할 수 있고, 5일엔 2·7, 6일 3·8, 7일 4·9, 8일 5·0 순으로 신청 가능하며, 5부제 종료 후에도 사업기간이 끝나는 11월 30일까지 신청이 가능합니다.
어떻게 사용하나요?
익월 15일에 사용자가 지정한 전담 카드에 캐시백이 지급되면 즉시 사용이 가능합니다. 상생소비지원금은 상생국민지원금과 동일하게 전담 카드로 결제 시 캐시백부터 우선 차감되는 구조이며, 캐시백은 현금과 동일하게 쓸 수 있기 때문에 사용처에 제약은 따로 없습니다. 단, 사용 기한은 2022년 6월 30일까지입니다.
좀더 자세한 내용은 상생소비지원금 통합 콜센터(☎1688-0588, 1670-0577)로 전화하거나, 통합 홈페이지(상생소비지원금.kr)를 방문하면 상세한 내용을 확인할수 있습니다.
'Issue'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기도 5차 재난지원금 (0) | 2021.09.30 |
---|---|
경기도 재난기본소득 홈페이지 (0) | 2021.09.30 |
부스터샷 10월 일정 (0) | 2021.09.28 |
16호 태풍 민들레 (0) | 2021.09.27 |
재난지원금 오프라인 신청방법 (0) | 2021.09.16 |
댓글